슬로우 라이프

챗gpt탑재한 애플, 삼성 독자 AI 가우스와 어떻게 다를까? 본문

경제이야기

챗gpt탑재한 애플, 삼성 독자 AI 가우스와 어떻게 다를까?

BYJEN 2024. 6. 12. 12:00
반응형
SMALL

2024.06.12

애플이 오픈 AI와 파트너십을 맺고 아이폰 음성 비서 시리에 챗GPT를 이식했다. 애플은 AI지각생이라는 평가를 의식한 듯 새로운 기능들을 쏟아냈다. 애플인텔리전스라는 이름으로 새 AI기술을 공개했다. 애플은 사용자의 개인적 맥락을 파악하는 AI라는 점을 알리며, 시리가 아이폰 속 내용을 스크리닝해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찾아주거나 생성해 줄 수 있도록 한다. 회의 시간이 미뤄졌을 때나 변경된 일정을 캘린더에 표시해 주는 것은 물론이고 저녁에 연극 공연에 맞춰 도착할 수 있는지도 분석하고 교통상황도 파악해 준다. 시리가 퍼스널 비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애플은 메시지와 이미지, 이모티콘 생성 기능 등 다양한 AI기능을 소개하며 상당수는 온디바이스 AI로 활용 가능하다. 애플은 자체 AI기술력을 강조했지만 사용자에게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최고의 모델인 챗GPT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오픈 AI 측에 손을 내민 애플이 의미를 축소한 것으로 평가한다. 삼성전자가 자체 AI모델인 가우스를 통해 갤럭시 S24에 온디바이스 AI기능을 구축한 것과 대비된다. 이에 일부에서는 챗gpt보안에 대해 의심을 품고 있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9월부터 영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베타서비스를 시작하며 대표 지원기기는 아이폰 15프로 이상, M1칩 이상 아이패드와 맥에서 사용 가능하다. 

애플과 삼성의 AI 전략과 그에 따른 현황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애플의 AI 전략:
    • 애플은 사용자의 개인적 맥락을 파악하는 AI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일상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애플은 챗GPT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시리를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는 삼성의 가우스와 같이 자체 AI 모델을 사용하는 것과 대조됩니다.
  2. 삼성의 AI 전략:
    • 삼성은 자사의 AI 모델인 가우스를 사용하여 갤럭시 S24에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는 자체 개발한 AI 기술을 강조하며, 디바이스 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3. 시장 반응:
    • 애플이 챗GPT를 도입하면서 일부에서는 애플이 혁신 아이콘에서 추종자로 전락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애플이 자체 AI 기술을 강조하던 만큼 챗GPT를 도입하면서 그 신뢰성과 독자성을 상실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반면, 삼성은 자체 AI 모델을 사용하여 독자적인 경로를 추구하고 있어서 일부에서는 삼성의 AI 전략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습니다.
  4. 애플이 챗GPT를 빌려 쓴 이유:
    1. 다양성과 지식 확장:
      • 애플은 자체적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만, 챗GPT와 같은 대규모 모델은 더 넓은 범위의 지식과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질문에 더 풍부하고 정확하게 응답할 수 있습니다.
    2. 빠른 개선과 향상:
      • 챗GPT는 이미 훈련된 모델이므로 애플은 시리를 빠르게 업데이트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능이나 개선된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델을 훈련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빠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3. 신뢰성과 신속한 출시:
      • 애플은 챗GPT와 같은 이미 검증된 모델을 도입함으로써 신속하게 AI 기능을 출시할 수 있습니다. 챗GPT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델이므로 그 안정성과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높습니다.
    4. 전문가 리소스 확보:
      • 애플은 챗GPT와 협력함으로써 오픈 AI의 전문가들의 리소스와 지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을 종합하면, 애플이 챗GPT를 빌려 쓴 이유는 시리를 더욱 지능적으로 만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기 위해서일 것입니다.

<2024.06.12 한국경제신문일부분발췌>